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5

건설 단계별 업무: 미장공사 미장공사의 공법에는 모르타르 바름, 플라스터 바름, 회반죽 바름, 흙 바름 등의 종류가 있으며, 직접 노출하여 마감재로 쓰이기도 하지만, 보통 바탕면 전체를 시공(미장)하므로 평활성을 확보하여 도배, 도장 등 최종마감의 품질을 높입니다. 이 글은 미장공사의 시공방법 및 고려사항을 소개합니다. 미장공사준비 ● 준비 및 시공계획 ① 미장 부분에 대한 도면, 설계요구조건, 시방서를 검토합니다. ② 청소상태를 포함한 선행공정의 결과를 검토하고 미비하면 보완합니다. ③ 비와 바람, 기온 등에 대한 보양 대책을 검토합니다. ④ 작업공정에 따른 자재 보관장소, 작업자 배치, 비빔장소, 용수설비, 운반 동선 등을 계획을 합니다. ⑤ 비계가 필요한 경우 마감선에서 400㎜이하로 이격 합니다. ⑥ 바탕면의 건조상태를 확인.. 2023. 9. 26.
건설 단계별 업무: 타일공사 타일은 내구성, 내수성, 내마모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 건축물의 내·외부의 재료로서 넓은 바닥이나 벽에 붙이는 재료로 물을 막아주고 의장적인 효과를 발휘해 왔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욕실, 주방, 수영장 등의 물을 쓰는 부속적인 공간 외에도 거실, 사무실 등 주요 공간으로 사용 용도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이 글은 타일공사의 시공방법 및 고려사항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타일공사를 시공에 충분히 숙지하여 올바른 타일공사가 되기를 바랍니다. 타일공사 준비 ● 타일공사 시공 전 확인사항 ① 설계도면의 시공부위의 위치 및 평활도를 확인합니다. ② 상세도를 확인하여 이질재료와의 접합마감 관계를 검토합니다. ③ 개구부, 설비기기 접합부에 타일 시공공법을 확정합니다. ④ 타일시공방향(타일 배치 시작점)을 확정합니다. .. 2023. 9. 25.
건설 단계별 업무: 방수공사 건축물이 인류에게 쓰임을 가질 때부터 물(눈, 비, 지하수 등)을 막는 노력은 계속되어 왔습니다. 그만큼 방수의 역사는 건축물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습니다. 최근 들어서 한국은 이전의 장마를 '우기'라고 표현할 만큼 기후변화의 영향이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유래 없는 여름철 집중호우로 건축물에 피해가 속출했으며, 그만큼 방수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은 방수공사의 시공방법과 고려사항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올바른 방수공사로 시공자 및 건축주는 물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기를 바랍니다. 시공 전 확인사항 ● 점검사항 - 설계도 (평면도, 단면도상세도 등) 및 시방서를 검토하고, 선정된 방수공법이 골조의 형태 등의 시공조건 및 이용 용도 조건에 적합한지 검토합니다. 방수공사 시작 전 설비공사.. 2023. 9. 24.
건설 단계별 업무: 석공사 석재는 오랜 시간 건축자재로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미려한 마감재로 건축물의 내외부에 마감재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 글은 석공사 시공방법과 고려사항을 소개합니다. 정확한 계획과 지침을 준수하여 하자 없는 완벽한 석공사를 진행하기 바랍니다. 검토사항 ● 설계도서 검토: 설계도를 검토하여 석재의 종류, 마무리의 종류, 사용장소, 시공방법 등을 확인합니다. 시방서를 검토하여 이질재료와의 접하부분 처리 방식을 확이 하고, 줄눈방법과 사용재를 검토합니다. ● 석재의 품질: 석재의 규격과 시험성적서 (강도, 흡수율, 철분함량 등의 시험성적서)를 검토합니다. 건축용 석재는 균열, 파손, 얼룩, 띠, 철분, 풍화, 산화 등의 결함이 없고 가공 마무리한 규격이 정확해야 합니다. ● 건축용 석재와 주용도 구분 생성.. 2023.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