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건축주가 알아야 할 한옥 집짓기 순서
한옥은 한국 전통건축으로 친환경적이고 독특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글은 '가설공사, 기초공사, 목재 치목, 목재 조립, 지붕공사, 수장재 치목, 수장재 조립, 마루 치목, 마루 조립, 벽체공사, 계단 난간 및 조립, 기단공사, 기름먹이기등 한옥집짓기를 소개합니다. 1. 가설공사 ● 가설창고: 가설창고는 목재의 보관 및 장비의 보관하는 장소로 우천 시에는 작업장으로 사용됩니다. ● 야적장: 한옥 시공을 위해 골재 (마사토, 황토, 자갈, 강회), 석재(기단석, 초석), 기와 등을 야외에 보관하는 장소입니다. 또한 집터와 인접하고 차량 진입이 용이하며, 골재를 혼합, 배분하는 작업이 가능해야 합니다. ● 가설설비: 전기설비, 수도설비 등을 설치하여 공사 중 꼭 필요한 전기와 물을 공급합니다. ● 비..
2023. 10. 1.
집짓기 (전통건축공사) 관련 행사: 개토제, 모탕고사, 입주시, 상량식, 준공식
전통건축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요 공정 전, 후에 행사들이 있습니다. 이글에서는 건축공사 중 건축주나 시공자가 시행하는 개토제, 모탕고사, 입주식, 상량식, 준공식에 대해 소개합니다. 특히 상량식은 아직도 많은 건축주들이 진행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개토제 현대건축공사의 '기공식'과 비슷한 행사로, '땅을 열기 전에 올리는 의식'입니다. 개토제는 전통건축공사에서는 공사 전에 진행하는 행사로 공사 관계자(건축주, 시공사, 설계자 등)가 모여 공사가를 시작한다는 것을 땅과 신명에게 고하고 무사히 공사진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행사입니다. 개토재는 건축주가 직접 주관하며, 행사(개토제)와 더불어 이웃주민들에게 인사하는데도 목적이 있습니다. 2. 모탕고사 한국의 전통건축의 주요 구조부는 목재를..
2023.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