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5

한옥에서 문의 종류: 사립문, 평대문, 솟을대문, 사주문, 누문, 중문과 협문, 일각문, 일주문, 정려문, 홍살문, 평삼문과 솟을삼문 문은 외부와 내부를 구분 짓고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요소입니다. 또한, 문 앞에 입춘방이나 처용 얼굴을 그려 붙여 길함을 들이고 흉함은 막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한옥의 문은 현대의 문과는 달리 안으로 열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가족뿐 아니라 손님도 따뜻하게 안으로 받아들이는 관습이 녹아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옥의 다양한 종류의 종류를 소개하겠습니다. 1. 사립문 사립짝을 달아 만든 문으로, 싸리, 옥수숫대, 대나무, 나뭇가지 등을 엮어 제작됩니다. 담장에 외기둥을 세워 엮어 달아 놓기 때문에 똑바로 서지 못해서 지게 작대로 받쳐 두는 경우가 많아 지게문이라고도 합니다. 2. 평대문 기와지붕의 서민주택과 중·상류주택의 사랑채나 행랑채에 설치되었습니다. 행랑채와 높이를 같이하여 만들어집니다. .. 2023. 10. 17.
한옥의 착시 보완: 귀솟음, 안쏠림, 앙곡, 안허리, 배흘림기둥, 민흘림기둥 한옥 건축의 아름다움은 착시를 보완하는 디테일에서도 발견됩니다. 이에 대한 중요한 예시로 '귀솟음과 안쏠림', '앙곡과 안허리곡', '배흘림기둥과 민흘림기둥'이 있습니다. 이글에서는 이러한 한옥에서 착시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귀솟음과 안쏠림 ● 귀솟음: 바깥에 있는 기둥을 안쪽의 기둥보다 높게 만들어서 중앙에서 바라볼 때 멀리 있는 지붕의 양끝이 쳐져 보이는 착시를 줄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귀기둥 쪽으로 갈수록 높아진다고 하여 귀솟음이라 하는데, 기둥 위에 놓이는 부재의 치수까지 미세하게 조절해야 하므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기법입니다. ● 안쏠림(Inclination to Inside): 기둥의 윗부분을 조금씩 중앙 쪽으로 쏠리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건물이 벌어져 보이지 않도록 하려는.. 2023. 10. 16.
건설 단계별 업무: 위생설비 (정화조 공사) 위생설비의 배수시설은 하수(생활하수, 싱크, 세면재, 샤워 등)와 오수(변기)로 구분되는데 도시나 단지에서는 관로를 통해 하수 처리 시설로 모아서 처리하므로 대지 내의 배출 처리만 해주면 되지만, 도시 외 지역은 아직도 정화조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용량은 5 인용부터 시작하고 필요한 용량에 따라서 선택하면 됩니다. 정화조는 오수와 하수가 분리되어 하수 처리 후 합쳐지는 분리 처리 방식과 오수와 하수가 함께 유입되어 처리되는 합병 처리 방식으로 나뉩니다. 이글에서는 주택에서 정화조 용량 계산방식, 분리 처리 방식, 합병 처리 방식, 정화조 시공 시 건축주가 알아야 할 고려사항을 소개합니다. 정화조 용량 계산주택에서 정화조 용량은 주로 인원을 기준으로 합니다. 아래표는 주택에 정화조의 인원산정 .. 2023. 10. 16.
건축주가 직접 시공하는 직영형 반셀프 인테리어: 공정순서와 고려사항 최근, 인테리어 업계에서는 건축주가 직접 시공하는 직영형 반센프 인테리어가 뜨거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방식은 전문 업체에 의뢰하는 턴키(Turn Key) 방식보다 평근 25%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주가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과 마감을 직접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파트를 포함한 주택 반셀프 인테리어(직영공사)의 공정순서와 각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사일정 정하기 (공사공정표 작성) 통상적인 주택의 반셀프인테리어(직영공사)의 공정과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공업체 선정 및 계약 2. 공사신고 / 서명 3. 철거 공사 (3일) 4. 창호 공사 (1일) 5. 목공사 (3일) 6. 전기공사 (1일) 7. 타일공사 8. .. 2023. 10.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