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5 바닥의 기능 및 구성 요소 바닥이란 건축물의 공간에서 아랫면을 말하며 그 위에서 사람이 생활하고 물건들을 놓는 부위입니다. 이글에서는 바닥의 기능, 요구조건, 그리고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닥의 기능 바닥의 기능과 요구조건은 기본적으로 적재하중을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지지하느냐와 요구되는 성능에 적합한 바닥재료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바닥의 기능은 바닥의 위치나 사용 상황 그리고 건물 용도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위치에 따른 분류로는 옥외바닥과 옥내바닥으로 나누고, 옥외의 바닥은 적재하중을 고려함은 물론이고 내구성, 내후성, 안전성 등의 기능이 요구됩니다. 옥내의 바닥은 옥외바닥의 경우보다 요구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지만 각종 하중의 충격을 견뎌내야 하고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내마모성도 있.. 2023. 10. 18. 기초(Foundation)란? 기초의 종류 및 구성요소 건물을 세우기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는 기초 설계입니다. 기초는 건물의 안전과 안정을 담당하며, 지반과의 상호작용을 최적화합니다. 이 글에서는 건축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의 종류와 선택에 대한 중요한 요령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의 정의 기초란 건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반으로 전달하고 또 수평면을 고정시키기 위한 인공구축 부분을 말합니다. 아무리 상부구조과 화려하고 좋다 하더라도 기초에 따라서 사상누각으로 되어버립니다. 따라서 건물의 용도, 규모, 대지 조건, 지반의 성질, 공사기간, 그리고 기능성, 안전성, 시공성,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형식이나 공법의 결정이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기초는 지반 조사와 구조계산에 의해 구조전문가와 설계자 설계합니다. 설계에 앞서 시행하는 지.. 2023. 10. 18. 한옥 벽 시공 순서와 종류 한옥의 벽은 자연 소재인 흙, 짚, 백토, 당회, 등을 물과 섞어 바르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자연친화적인 건축 양식을 유지합니다. 또한 기둥과 보를 그대로 노출해 강도가 약한 흙에 금이 가면 구조재(기둥, 보 등)의 변형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흙이라는 소재는 건축환경적으로 습도 조절과 단열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글에서는 한옥의 벽을 완성하기까지의 과정과 한옥의 종류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한옥의 벽 시공 순서 1. 중깃박기: 흙벽을 칠 때 중방과 사이에 벽체 힘살이 되게 세우는 부재로 25~40㎜ 정도 정도 두께로 만들며 끝은 자귀로 뾰족하게 하여 인반에 통맞춤으로 합니다. 2. 외역기: 벽틀을 촘촘하게 만들기 위해 싸리나무나 수수깡 등을 이용해 중깃.. 2023. 10. 17. 한옥에서 담의 분류: 재료와 기능에 따른 담의 분류 담은 순우리말로, 일반 한옥 주택에서는 경계를 짓거나 시선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사람의 키를 넘지 않았습니다. 경계를 짓고 자연과 단절되지 않게 만들었던 것입니다. 이글에서는 담을 재료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소개하고 합니다. 재료에 따른 담의 종류● 토담과 토석담: 일반 한옥주택에서 주로 활용하는 담의 형태중 하나로, 목재틀에 흙을 넣어 다지기를 반복여 만든 담장으로 진흙 앙금으로 마감합니다. 토석담은 흙, 지푸라기, 석회 등을 섞어 돌과 함께 쌓아 올린 담장입니다. ● 돌담: 자연석으로 쌓은 담입니다. 막돌을 쌓아 올리고 틈새에 잔돌을 사춤돌(쐐기돌)로 끼워 쌓은 것으로 돌각담이라고도 합니다. ● 와편담장: 흙담에 기와를 섞어 넣은 형식으로 기와를 온 장으로 쓰지 않고 반 정도 갈라 쓰.. 2023. 10. 1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