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친환경건축

벽면 녹화의 환경조건과 고려사항

by 건물주 도전자 2023. 11. 4.
반응형

벽면 녹화는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는 방법 중 하나이며, 히트아일랜드 현상의 완화, 대기정화효과 등의 효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식물을 활용하여 벽면을 더 생동감 있게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기술과 환경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벽면 녹화 기술과 그에 따른 환경조건 및 고려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벽면녹화 기술과 특징

벽면녹화기술 특징
벽면등판형 자립 덩굴 타입 담쟁이 덩굴 등의 부착근을 가진 식물에 따라 저렴하고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녹화, 피복에 시간이 걸립니다. 유리와 금속면에는 덩굴은 올라가지 않습니다. 
보조자 사용 덩굴 덩굴을 위해 보조자재를 부착합니다. 올릴 경우에는 각종 매달은 식물에 의한 녹화, 보조재의 비용상승, 보조재 사용장소와 부착방법에 주의합니다. 
벽면아래벽형 자립 늘어짐 타입 벽면 상부 또는 도중에 적재기반을 설계하고, 관엽식물(hedera)류 등에 의해 메인터넌스의 용이한 녹화, 바람에 대한 부적정하합니다. 피복에 시간이 걸립니다. 
보조자재 사용 늘어짐 타입 늘어뜨리기 위해 보조자재를 부착해 안정성을 높이는 녹화, 보조재의 비용상승, 보조재 사용장소와 부착방법, 하중에 주의합니다.
벽면전식재형 녹화 컨테이너 설비 타입 발코니등 녹화컨테이너를 설치하고, 각종 수목사용이 가능한 발코니 녹화 병용형의 녹화, 녹화장소를 고정합니다.
식재 기반 부착 타입 육성양성으로 어느 식재기반 부착벽면 녹화식물을 벽면에 부착시켜서, 녹화 , 조기녹화가 가능하며 벽면녹화효과효용이 높습니다. 고가, 자동관수설치가 필요하고 유지관리비가 걸리는 부착방법에 주의합니다. 

 

환경조건

1. 적재하중조건과 지지강도등을 조사하여 식재기본과 동판보조자재를 계획합니다. 또 급배수설비, 전기설비의 유무를 조사하고 계획과 설계에 반영시킵니다. 

2. 벽면녹화에서 이용용도점에서 가능한 낙엽과 낙엽가지, 낙설피해를 방지하는데 도모합니다. 또한, 조류배설물의 오염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주변가옥의 위치와 이용상황을 조사하여 그늘 및 사생활 보호 등을 고려합니다.

4. 반입로와 작업공간, 메인터넌스동선, 유지관리공간들을 조사하고 식재수목의 크기와 시공방법 등을 검토합니다.  

 

고려사항

1. 벽면녹화의 대부분 식재 후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하지 못해 식재 기반의 충분한 정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벽면녹화에서는 유지관리점부터 될 수 있는 한 우수이용으로 무관수가 가능한 녹화방법이 필요합니다. 또한 녹화수법과 식재기반의 차이에 따라 관수장치는 다르지만, 고효율 생산이 근본이 되는 에너지 절약의 드럼용 관수방식이 일반적입니다. 

3. 덩굴의 보조자재에 대하여 지질, 색, 형태, 구조, 내구성, 설치방법 등 충분히 검토합니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광선, 알루미늄 피복동선등을 사용합니다. 

4. 벽면녹화를 하는 장소는 바람이 강하게 불고, 식물이 벽 등에서 부딪쳐 부러지는 수가 있습니다. 그것 때문에 벽의 모퉁이에는 네트 등의 보조재를 설치하여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조치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5. 환경조건과 경관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식물을 선택합니다. 또 매다는 식물을 녹화할 때에는 벽면을 가리는 시간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6. 벽면녹화에 적당한 식물은 나무개수 또는 영속할 다년초로 될 수 있는 한 영구적인 녹화가 가능한 것, 키우는 면이 왕성하고 피복이 짧을 것, 병해충이 적고, 튼튼하고 유지관리가 용의 할 것 등의 조건을 가진 것이 적당합니다. 

7. 일반적으로 매다는 식물은 5~10㎝ 전후의 그물코를 사용하지만, 능소화나무, 포도나무, 등나무, 키위 등은 20㎝이상의 그물코망 크기는 관련 없습니다.  

 

마무리

벽면 녹화는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다양한 기술과 환경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식물의 종류, 기반 부착 방식, 유지보수 등을 신중히 고려하여 녹화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아름다운 환경을 조성하고, 녹화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